겨울이지만~~~ 봄처럼 느껴지는 이상한 겨울이네요,,ㅎ 덜 추워서 외출하기엔 좋지만 ㅠ
미세먼지로 인해 꼭 닫은 창문을 바라보자니... ㅠㅠ
예전 겨울 매섭도록 차가운 바람은 출근길을 힘들게 했지만, 차디찬 신선한 공기는 우리 뇌 속에서 상쾌함과 적당한 긴장감을 주기도 했던 거 같아요,,
예전 겨울 날씨가 너무 그리운 시간이네요~~
그래서 머릿속에 저장해두면 우리 생활에 도움이 될만한 싱크대 규격 실측방법을 알려드릴꼐요..~~
우선, 집안에 들어서면 주방과 거실이 집안 분위기의 70% 정도는 차지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중에서 주방의 싱크대 실측방법과 중요한 포인트 부분을 알려드릴게요..
싱크대를 교체하시거나 신혼집이기에 인테리어를 하시는 분들께서 알아두시면 업체 사장님 게 원하시는 부분을 정확히 표현하실 수 있어서 맘에 드는 주방을 갖게 되시리라 생각 듭니다~~
우선 보편적인 싱크대 모양은 ㅡ자형 ,ㄱ자형,ㄷ자형 등으로 나누어지며 집의 평수와 구조의 의한 편리한 동선으로 만들어집니다.
ㅡ자형일 경우 벽면에서 싱크대가 끝나는 지점까지 실측을 합니다.
예를 들어 2700m가 나온다면 2.7*2를(곱하기) 하시면 5.4m가 주방의 총사이즈입니다.
단, 냉장고장이 위에 연결되어있다면 5.4m에 냉장고 장치수를 더하면 고객님댁의 싱크대 총 치수가 됩니다.
보통 냉장고장의 평균 길이는 1m 정도를 규격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 싱크대는 상부장과 하부장의 깊이가 다릅니다
하부장의 규격은 5.5m에서 6m가 2가지 규격이지만, 상부장의 깊이 경우는 3m가 보편적인 규격 사이즈입니다.
가끔 싱크대를 바꾸고는 싶지만 경제적인 부담 때문에 하부장만 바꾸시겠다고 하시는 분들도 종종 계시지만, 금액으로는 70% 이상이 하부장의 금액이기에 아주 저렴하게 느껴지시지는 않으실 겁니다.
이유는 상부장은 기본 pb목대와 문짝 후드 등의 특별히 추가 옵션이 없으나, 하부장의 경우는 목대와 문짝 상판과 수도 또는 쿡탑 등 들어가는 옵션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금액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싱크대 가격을 정하게 되는 기준을 알려드릴게요.
1) 주방 싱크대 실측 사이즈
ㅡ, ㄱ,ㄷ, 아일랜드 식탁, 키 큰 장을 놓으실 경우 별도로 실측하여 가격을 포함시키게 됩니다.
2) 문짝 재질
싱크대 몸통과 같은 재질의 PB 제품
약간의 유광인 LPM 제품
조명등이 굴절 없이 깔끔히 비치는 UV하이그로시
UV하이그로시에 펄을 뿌려놓은 제품
*저렴한 순으로 나열해 보았습니다
3) 상판
스텐상판, PT나무 상판, 대리석 상판
*저렴한 순으로 나열해 보았습니다.
4) 옵션
후드, 입수 전(수도), 쿡탑, 내부 양념장 망등 싱크대 장외에 추가로 선택해서 설치하는 경우
5) 기존 제품 철거비용과 시공비용
6) 싱크대 옆 마감 재질을 같은 문짝 재질로 할지 또는 몸통 PB 인지 선택 차이
이런 것들이 모여져서 싱크대 금액이 형성이 됩니다..
그렇기에 싱크대를 새로 교체하실 경우 업체 사장님들께서 직접 실측과 상담을 하시는 겁니다.
소비자분들은 우리 집 싱크대 사이즈를 알아두시고 평상시에 보아오셨던 문짝과 상판 또는 옵션들을 의논하실 때 말씀하시면 원하시는 제품을 구매하실 수 있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실 겁니다.
싱크대는 규격이지만, 공장에서 직접 제작을 하기에 소비자분들께서 평상시 불편하셨던 점들을 말씀하시어 보완하여 제품 제작을 요구하셔도 소비자를 위하는 업체라면 당연히 해드릴 수 있는 상황입니다.
문짝이 열리는 방향이라던가 선반의 깊이 또는 개수 볼의 사이즈나 위치, 수도의 고급형 기준 , 후드 제품 등 모두 고객님께서 원하시는 제품이 있으시다면 업체와 자세히 상담 후 선택하세요~
ㄱ자형 주방의 경우 실측방법입니다.
싱크대 모습 그대로 실측을 하신 후 0.6m를 빼시고 곱하기 2를 하시면 소비자님의 주방 치수입니다.
예를 들면 가로 2.8m 세로 1.8m 인경우
2,8+1.8=4.6m이지만 ㄱ자형 주방인 경우 모서리 겹쳐지는 하부장 깊이 0.6m를 빼어야 정확한 하부장 치수가 나오는 겁니다.
상부장과 합해지면 빠지는 치수가 1.2m 가되니 실측하실 때 금액을 차지하는 중요한 부분이 되기도 하지요.
대리석 회사에서도 싱크 공장에게 당연히 치수를 빼 주기 때문에 소비자가 이유 없이 상판과 목대 비용을 낼 필요 없겠지요..
예전엔 모르시는 소비자 분들이 많아서 업체에서 빼지 않고 그대로 계산하시는 분들도 가끔 계셨지만 지금은 현명하신 소비자 분들이 많으셔서 그런 일들은 흔치 않다고 여겨집니다.
예시) 하부장 실측 가로 2.8m+세로 1.8m = 4.6m
4.6m-0.6m(하부장 깊이)=4m
4m*2= 8m 이럴 경우 고객님의 싱크대 전체 치수는 8m가 되시는 겁니다.
혹시, 키 큰 장이 있다면 키 큰 장은 별도로 실측을 하기 때문에 하부장 길이만 실측하셔야 합니다.
또한 키 큰 장의 경우도 규격으로 되어있기에 본인의 가전제품에 맞게 의논을 잘하셔야 합니다.
전자렌즈 들어갈 공간과 오븐이 들어갈 공간이 틀리며 소비자님이 사용 용도를 정확히 이야기해주셔서 원하시는 제품이 나오게 되겠죠~
ㄷ 자형 주방의 경우 실측방법입니다.
ㄱ자형 주방과 똑같이 세 군데를 모두 실측하는 건 똑같지만 ㄷ자형은 겹쳐지는 모서리 부분이 2군데 이므로 1.2m를 빼주면 됩니다.
예시) 하부장 실측 ㄷ자 3곳 실측 후 가운데 2.8m +세로 1,8m+반대편세로 1.8m = 6.4m
6.4m- 1.2m (하부장 깊이 2곳) = 6m
6m*2 = 12m 고객님의 싱크대 전체 치수는 12m입니다
ㄷ자경우 상부장이 하부장과 다를 경우가 많기에 그럴 경우는
*2를 하지 마시고 상부장을 따로 실측 후 더해주셔야 합니다.
여기도 키 큰 장이 있다면 위 예시처럼 우선 하부장 길이로 싱크대 총길이를 먼저 실측하셔야 합니다.
그 후, 키 큰 장의 가로 규격 길이는 0.6m *3= 1.8의 장이 더 추가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부장의 규격 깊이 사이즈는 0.6m이며 키 큰 장은 바닥부터 천정까지 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3을 하는 공식이 생긴 겁니다.
하나, 비규격의 키 큰 장도 더러 있기에 키 큰 장의 금액은 주로 규격과 비규격 차이 또는 옆 마감을 문짝 재질로 하느냐 몸통 재질을 그대로 보이게 하느냐에서 차이가 많이 생긴다는 점만 알아두시면 되실 듯싶습니다.
실측이 끝나면 상판의 재질에 따라 금액이 차이가 생기며 대리석 등은 1M 기준 제품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하부장 총길이에 상판 금액을 곱하면 상판 금액이 되지요.
여기에 개수대 볼 (설거지 볼) , 쿡탑 등 추가 옵션이 있는지 여부와 기존 제품의 철거비와 새로운 제품 시공비용 부분이 모드 들어간 금액이 상판 교체의 전체 금액이 됩니다.
가끔 티브이나 인터넷 상으로 철거와 시공비가 없다고 하면서 선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건 , 절대 있을 수 없습니다,
왜냐면 업체도 버리는 비용이 들고 인건비 주면서 버려야 하며 , 시공 또한 시공기사님 인건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그 부분은 무료로 해줄 수 있는 곳은 아무도 없습니다.
우리는 알잖아요~~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진리를 ㅎㅎ 그러니 , 그런 광고를 믿는 것보단 우리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디자인과 제품 등으로 퀄리티를 높이던가. 아님 저렴한 금액을 원하신다면 그것 또한 자세한 내용을 아시면 업체와 상담하실 때 조금 더 저렴하게 제품 구입하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실 겁니다.
※ 붙박이장 경우 가로사이즈 벽 끝에서 끝으로 3군데 즉 상, 중, 하 높이를 실측 후 그중 가 장 넓은 면을 붙박이장 길이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가구 경우 3곳 중 제일 작은 사이즈를 선택하는 이유는 가구의 여유공간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지만, 붙박이 장처럼 벽에 딱 맞추어야 하는 경우는 큰 사이즈를 선택하셔야 장 옆의 마감재로 시공 시 벽에 맞추어 재단을 하면서 깔끔히 마감처리가 됩니다.
또 바닥에서 천정의 경우도 3군데 위치를 실측 후 가장 높은 부분을 선택해두시면 됩니다.
혹시 글을 읽으신 후 더욱 상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신 경우는 댓글에 남겨주세요.
자세한 답변드리겠습니다~~
댓글